아카이빙/인프라 4

[모른다면 클릭] 쿠키 딥다이브 (feat. Version 0 쿠키, 써드파티 쿠키, Cache-Control과 쿠키)

쿠키... 별거 없다고 생각하면 별게 없다.그냥 서버에서 심어주고 브라우저는 쿠키를 들고 있다가 다시보내며 식별성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법이다. 알면 알수록 신비롭고 조심히 다뤄야할 대상이란걸 깨닫게 된다.쿠키에 대해 딥다이브 해보자   목차1. 쿠키 왜 씀2. 쿠키의 형태 (Version 0 쿠키)3. 어마무시한 써드파티 쿠키의 위력4. 쿠키 캐싱잘못하면 난리가 난다   1. 쿠키 왜 씀HTTP 는 stateless 하다.그러나 여러가지 이유에서 접속자를 식별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ㅡ어떻게? 먼저 클라이언트가 요청에 담아 보낸 HTTP 의 From(이메일주소), User-Agent(브라우저), Referer(요청 전 머물렀던 페이지) 등의 헤더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가볍게(?) 추적할 ..

HTTPS를 왜 써야하는지, 암호화가 뭔지 모른다면 클릭

웹을 운영한다면 https 를 사용하는 것이 너무나 자연스럽다.http 로 접속하게 되면 '안전하지 않음' 이 뜬다.인증서를 발급받고 https 설정을 하면된다이것은 영리한 초딩들도 할 수 있다. https 라는게 뭐지? 인증서는 왜 발급받지?애초에 http가 뭐지? 라는 물음에서 책을 파고파고들며 알게된 지식이다 "HTTPS 는 HTTP 요청과 응답을 SSL/TLS 로 암호화하여 보안을 강화한 HTTP 보안 버젼이다. HTTPS를 사용하려면 SSL/TLS 인증서가 필요하며 이 인증서는 서버가 신뢰할 수 있는 서버임을 보증한다" 쫄지말자!우선 당신이 쫄았다면 그 이유는 배경지식이 없기 때문이다. HTTPS 에서 핵심 키워드는 보안, SSL, 인증서이다. 이 글을 한 번 읽게 되면 다음 질문에 대해..

HTTP란 무엇인고

www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두가지는 HTML과 HTTP다.이 둘은 웹을 발명할 때 함게 만들어졌다. HTTP는 웹의 요소들이 서로 대화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HTTP를 이해한다는 것은 웹이 어떻게 동작하는 것인지 이해한다는 것이며, 이를 이해해야 웹 프로그래밍을 어떻게 할지, 웹 서버를 어떻게 만질지, 네트워크는 어떻게 관리할지에 대한 뼈대가 된다. 35년 가까지 온갖 언어와 프레임워크가 등장했다가 사라졌어도 웹은 기본적으로 HTTP 를 베이스로 동작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았다. PC, 스마트폰, 아이패드 그리고 향후 비전프로, 스마트글라스 등 어떤 하드웨어가 등장해도 이 메인스트림은 유지될듯하다.  (그리고 어떤 차세대 프로토콜이 나와도 HTTP 를 기반으로 하거나, HTTP 의 약점을 보완하는..

아직 웹서버와 WAS 구분이 안된다면 클릭

웹 서버와 WAS (Web Application Server) 1. 웹서버 웹이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를 공유 검색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구성요소에는 URL(주소), HTTP(통신규칙), HTML(내용) 이 있겠다. 서버란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시스템이다. 즉 웹서버란 인터넷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라고 볼 수 있다. 웹서버는 한마디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다리고 요청이 들어오면 필요한 데이터를 만들어서 응답하는 PC.단 이 때 데이터는 웹에서 처리할 수 있는 html, css, js, 이미지 등 정적인 데이터로 한정된다. 대표적인 웹서버에는 Apache HTTP Server (아파치), Microsoft IIS, nginx 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