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 4

18장. 서버에서 사려깊게 응답을 준다면 프론트엔드에선 어떻게 처리해야할까?

17장 백엔드에서 성공/실패시 응답을 통일감있게 내려준다. 프론트에서는 이걸 어떻게 받아줘야 디버깅시 편하고 또 유저에게 안정감있게 화면을 보여줄 수 있을까? 버튼을 눌렀는데 아무 동작이 없거나 빈화면이 뜨면 유저는 불편함을 넘어서 사업자체를 의심한다. 사람은 이성적으로 결정하는게 별로 없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본질적으로 데이터를 뿌려주는게 아니라 유저의 무의식을 설계하고 행동을 유도하는 임무를 수행한다고 생각한다. 프론트엔드 성공/실패 분기 처리전략일단 서버 개발자가 공감지능이 높아 배려를 잘해줘서 아래와 같이 성공/실패 응답을 잘 주고 있는 상태 { "success": true, "status": 201, "message": "회원가입이 완료되었습니다.", "data": { "use..

카테고리 없음 2025.04.16

17장. 서버에서 대충 응답을 던진다면 프론트엔드에선 어떤 일이 발생할까?

15장 요청 본문 로깅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어떤 Body 데이터를 가지고 서버에 들어오는지를 로그를 찍어서 추적하고 싶었다. 지금까지 개발할 때 @ControllerAdvice 나 @RestControllerAdivce 로 프론트 백사이 응답구조를 맞춰주는것을 정석으로 알고 맞춰했음. 혼자서 기능개발 한다고 포맷을 신경쓰지않고 그냥 하다보니 왜 그렇게 해왔는지 참의미가 이해되어서 파고들다보니 만들어진 글 목차1. 요청 응답시 서버 개발자의 배려가 부족하다면...2. @Controller Advice 와 @ExceptionHandler3. 백엔드 응답 전략 (코드 구현)4. 프론트엔드 응답별 성공/실패 분기 처리전략 1. 요청 응답시 서버 개발자의 배려가 부족하다면... 어차피 HTTP 표준..

16장. 이미지 어디서 어떻게 관리할까 S3? 파이어베이스?

이미지를 바이너리 형태로 DB에 넣는건 말이 안되는 일 비정형 고용량 데이터를 넣어 CRUD 하게 되면 쿼리 I/O 나 백업복원 속도은 둘째치고, RDS 같은 클라우드 DB를 쓴다면 스토리지나 트래픽 요금폭탄이 기대가 된다. DB에는 이미지 링크만 저장하고 이 이미지를 어딘가 올려두어야하는데 서버 인스턴스는 좀 아닌 것 같고 파이어베이스와 S3 중에 고민이 시작됨 다만 파이어베이스 스토리지 대비 S3이 presigned URL 등의 접근제어를 포함해 좀 더 유연하고 확장성있다고들 하는데 각각 어떤 철학이나 아키텍쳐를 갖고 있을까 살펴보다 만들어진 글 "이미지 CRUD에 대한 권한처리는 어떻게 처리하지. 클라우드에서? 혹은 백엔드 서버에서?" 목차1. 이미지를 클라우드에 두는 이유2. 이미지는 백..

React Native CLI 에서 Expo 로 갈아탄 썰 (맥북이 답인가) ※20page 분량 긴글주의※

React Native CLI 에서 프로필 사진업로드를 위해 카메라 권한을 획득하려다보니 iOS, Android 네이티브 코드를 건드려야 했다.(Info.plist, Podfile - iOS혹은 AndroidManifest.xml - Android) Window 에서는 Xcode 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iOS 빌드를 못한다. 결과 확인을 못한다. 크로스플랫폼을 사용하는 의미가 없어지는 것이다. Expo 로 전환하기로 했다. 둘이 아키텍쳐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걸까 가벼운 마음으로 글을 썼지만 어쩌다보니 4일동안 작성하게 되었고 20page 가 넘는 문서가 되어버렸다 4일을 헤엄치다보니 그냥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Expo 는 누군가 만들어놓은 브라우저위에 HTML 만 올리면 되는거고, CLI는 브라..